반응형

 

✅ 지급 금액

 

경력단절여성과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고용지원금은 프로그램별로 지급 금액과 산정 방식이 다릅니다. 경력단절 여성에게는 인턴지원금, 직업훈련수당, 고용유지 장려금 등 다양한 형태로 최대 약 460만원까지 제공되며, 고용 형태와 유지 기간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. 중장년의 경우, 인턴 참여 시 월 150만원의 지원금이 제공되며, 계속 고용 시 사업주에게도 월 30만원이 지급됩니다.

 

지급 금액은 고용 형태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, 일정 기간의 고용유지를 조건으로 추가 장려금이 제공되는 구조입니다. 예를 들어 새일여성인턴의 경우, 인턴기간 3개월 동안 월 80만원이 지급되며, 이후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시 추가로 140만원이 지급됩니다. 이는 인턴 당사자와 기업 모두에게 장려금이 나뉘어 지급되는 구조입니다.

 

지원 항목 지급 금액 지급 조건
새일여성 인턴 월 80만원 × 3개월 인턴 근무 기간 동안 지급
근속 장려금 최대 140만원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시
중장년 인턴 월 150만원 중장년 대상 인턴 참여 시
계속고용장려금 월 30만원, 최대 3년 정년 도래 후 재고용 시 사업주 지급
직업훈련 참여수당 월 10만원 × 4개월 훈련 과정 출석률 충족 시

 

✅ 유효기간

 

지원금의 유효기간은 제도별로 다르며, 대부분의 인턴지원금과 훈련수당은 참여 개시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만 유효합니다. 예를 들어 새일여성 인턴제는 인턴 계약일로부터 3개월, 고용유지 장려금은 인턴 종료 후 최대 12개월 이내의 고용 지속 시 지급됩니다.

 

중장년 인턴제 역시 근무 시작일 기준으로 3개월 동안 유효하며, 이후 정규직 전환 시 고용 유지 인센티브가 따로 부여됩니다. 훈련 수당의 경우 훈련 개시일부터 종료일까지로 산정되며, 출석률과 과제 이수율이 일정 기준을 충족해야 지급됩니다.

 

모든 고용지원금은 반드시 사전에 신청 후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하며, 유효기간 내 신청하지 않을 경우 소급 적용이 불가능합니다. 따라서 각 제도별 신청 마감일과 승인일정을 반드시 확인하고, 신청 직후에는 문자 또는 이메일로 승인 여부를 수시 확인해야 합니다.



✅ 확인 방법

 

지원금 신청 후 확인은 워크넷(job.go.kr) 또는 새일센터 포털 내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. 여기서 접수일, 진행상태, 승인 여부, 지급 일정 등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, 거절된 경우 사유도 명시됩니다.

 

고용복지+센터 또는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 방문한 경우, 담당 컨설턴트에게 직접 문의하거나 상담 종료 후 받은 안내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일부 사업은 문자나 이메일로 결과를 안내하며, 해당 수신 여부도 체크해야 합니다.

 

또한 고용노동부의 '고용복지123' 앱을 통해 푸시 알림 설정 시, 진행 상태나 서류 보완 요청 등을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어 빠른 대처가 가능합니다.



✅ Q&A

 

Q1. 경력단절여성 지원금은 경력이 아예 없는 사람도 받을 수 있나요?

네, 가능합니다. 과거에 취업 이력이 없더라도 결혼·육아·돌봄 등으로 경제활동을 하지 못했던 경우에도 취업 의사가 있으면 경력단절여성 지원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. 특히 새일센터는 직업 훈련, 이력서 작성부터 취업 연계까지 폭넓게 지원하고 있어 경력 유무와 관계없이 이용 가능합니다.

 

Q2. 중장년 인턴 참여 시 정규직 전환 확률은 얼마나 되나요?

인턴 후 정규직 전환은 기업의 상황과 근로자의 성과에 따라 달라지지만, 정부는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에 장기근속장려금을 제공하여 전환율을 높이고 있습니다. 실제로 중장년 인턴 참여자의 약 40~50% 이상이 정규직 전환에 성공하고 있으며, 전환 기업에는 추가 인센티브도 제공됩니다.

 

Q3. 여러 지원금을 중복으로 받을 수 있나요?

일부 중복 수혜는 가능하나, 동일 사업 내 유사 항목 중복 지급은 제한됩니다. 예를 들어 새일여성 인턴과 직업훈련수당은 동시에 받을 수 있지만, 동일 기간 내 두 개의 인턴사업 참여는 불가합니다. 반드시 담당자와 상담하여 수혜 가능 항목을 체크해야 하며, 중복 수령 시 환수 조치가 이뤄질 수 있습니다.

 

 

반응형